2023 서울모빌리티쇼, 공간적 제약을 뛰어넘는 융·복합 모빌리티쇼로 성대히 개최 예정
국내 최대 규모 모빌리티 산업 전시회 ‘2023서울모빌리티쇼(Seoul Mobility Show
2023)’가 3월 30일(목) 언론공개행사를 시작으로
31일(금)부터 4월 9일(일)까지 경기
도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된다.
서울모빌리티쇼조직위원회(위원장 강남훈 겸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, 이하 조직위)*는
16일 오전 서울 서초구 자동차회관에서
기자간담회를 열고 2023서울모빌리티쇼에 대한
주요 추진 상황을 공개했다.
이날 간담회에서 강남훈 조직위원장은 “이번 서울모빌리티쇼에는 육·해·공을 아
우르는 하드웨어 모빌리티와 소프트웨어 모빌리티,
모빌리티 서비스 등 산업생태계
전반의 다양한 제품과 기술이 출품되며, 이를 통해 융·복합 전시회로 탈바꿈한 모
습을 체감하실 수
있을 것”이라며 “서울모빌리티쇼가 성공적으로 개최되어 우리
나라 모빌리티 산업은 물론, 관련 산업이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
바란다”
고 말했다.
올해 서울모빌리티쇼는 킨텍스 제1전시장 1~5홀에서 열린다. 총 전시규모는
53,541 제곱미터로 지난 행사(26,310 제곱미터 )보다 약 2배 이상
확대됐으며, 전 세계 10개국 160
여 개 기업·기관이 참가하여 다양한 모빌리티 콘텐츠를 선보일 예정이다. 이는
2021년 대비 약 60%
증가한 수치다.
관람시간은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이며, 주말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6
시까지 운영한다. 조직위는 간담회에서 2023서울모빌리티쇼의
주요 특징으로 ①다양한 모빌리티 콘텐
츠 부각 ②미래첨단기술로 모빌리티 산업 청사진 제시 ③모빌리티 산업 견인 및
B2B 지원 강화
④시승행사 및 공간적 제약을 벗어난 다이나믹한 체험을 꼽았다.
① 다양한 모빌리티 콘텐츠 부각
전 세계 10개국 160여 개 기업과 기관 등이 참석하는 이번 서울모빌리티쇼의 세부
참가현황을 살펴보면, 하드웨어(Hardware) 부문은 뉴모빌리티
(UAM, 로보틱스 등),
오토 메이커(Auto Makers), 오토 파츠(Auto Parts)로 분류하였다. 뉴모빌리티(UAM,
로보틱스 등) 분야에서는 SK텔레콤,
V-Space 등 총 9개사가 참가, 미래 모빌리티
산업의 변화를 선보인다.
이어 오토 메이커(Auto Makers) 부분에서는 기아, 르노코리아, 비엠더블유(BMW), 메르세데스-벤츠(MERCEDES-BENZ) 등 12개 완성차 브랜드,
친환경차 8개사, 이륜
차 3개사 등 총 23개사가 참여한다. 특히, 4년 만에 서울모빌리티쇼에 복귀한 쌍용
은 정통 전기 SUV 모델 토레스 EVX를
세계 최초로 공개할 계획이며, 기아에서는
대형 전기 SUV EV9 실제차량을 선보인다. 이외에도 수입차 브랜드 또한 다양한 신
차를 출시할 예정이다.
오토 파츠(Auto Parts) 부분에서는 글로벌 부품 공급 및 정비 서비스 에이씨델코
(ACDelco) 등 19개사가 참가한다.
소프트웨어(Software) 부문은 자율주행, 융합기술, 인큐베이팅으로 분류하였으며,
자율주행 분야에서는 현대모비스, 오토엘 등 4개사가 참가하고,
융합기술 분야 4개
사, 모빌리티 인큐베이팅(Mobility Incubating) 분야 등 총 17개사가 부스를 꾸린다.
마지막으로 서비스(Service) 부문에는 플랫폼, 모빌리티 케어, 모빌리티 라이프로 분
류하였으며, 플랫폼에는 차봇 모빌리티, 케타버스, 인벤티스 등
9개사, 모빌리티 케
어(Mobility care) 분야 4개사, 모빌리티 라이프(Mobility Life) 분야 12개사가 참가하
여 모빌리티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.
② 미래첨단기술로 모빌리티 산업 청사진 제시
조직위는 전시기간 중 기술을 중심으로 모빌리티 산업의 트렌드를 공유하고, 미래 청사진을 제시하기 위해서 다양한 컨퍼런스와 포럼을 개최한다.
먼저, 4월 4일(화)에는 미래 모빌리티 디스플레이에 대한 전략을 협의하기 위한
‘2023 디스플레이-모빌리티 데이’를 개최하며, 6일(목)에는 UAM 및
AAM의 발전을
위한 ‘UAM·AAM컨퍼런스’와 한국지능형교통체계(ITS) 산업진흥을 위한 정책 및 전
략 세미나를 개최한다. 이어 7일(금)에는 자동차
온실가스 전 과정 평가 방법 마련
을 위한 ‘자동차 온실가스 전과정평가 국제 심포지움’ 등을 추진한다.
또한 조직위는 항공우주산학융합원과 업무 협약을 맺고 항공 모빌리티 특별관을 구
성한다. 특별관에는 항공우주산학융합원을 비롯한 총 5개 기업이
참여해 UAM, PAV(개인형 항공기), 고정밀 GPS 단말기 등 다양한 항공 모빌리티 콘텐츠를 소개할 예정이다.
③ 모빌리티 산업 견인 및 B2B 지원 강화
조직위가 2021년 처음 시작한 서울모빌리티어워드(Seoul Mobility Award)도 참가대
상과 범위를 넓혀 진행된다. 올해는 ▲Mobility Hardware(승·상용차,
UAM, 퍼스널
모빌리티 등), ▲Mobility Software(MaaS, SaaS 등 모빌리티 무형 서비스 등), ▲
Mobility Tech(부품, 액세서리 등 제품의 신기술) 총 3개
부문으로 진행되며 예선을
거쳐 전시 기간 내 최종 결선 PT를 통해 우수기업을 선정한다.
이외에도 한국과학기술원(KAIST)과 산학 협력 프로그램을 진행하며, 국내 모빌리티
산업 분야의 우수한 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스타트업 인큐베이팅
존(Mobility
incubating)도 운영할 계획이다.
④ 시승 행사 및 공간적 제약을 벗어난 다이나믹한 모빌리티 체험
관람객들을 위한 다양한 체험행사도 전시회 기간 동안 만나볼 수 있다. 전시장 내
부에서는 참관객이 전기바이크, 전기자전거 등을 타볼 수 있는
‘이모빌리티
(E-Mobility) 시승회’와 교통안전체험행사를 진행한다. 또한 외부 별도 공간에서는
르노코리아, 메르세데스-벤츠, 제네시스 등의 완성차
브랜드가 참여하는 모빌리티
체험 시승장을 운영할 계획이다.
또한 조직위는 오프라인 중심의 전시회를 온라인 가상 공간까지 확장해 많은 관람
객이 언제 어디서나 전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준비했다.
서울모빌리티쇼 메타
버스를 통해 3D 가상공간에서도 실제 전시장에 있는 것처럼 각종 신차와 모빌리티
콘텐츠를 즐길 수 있으며, 추후 공개될
전용 앱과 홈페이지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.
더불어 조직위는 온라인 플랫폼과의 콜라보를 통해 시너지 창출을 시도한다. 먼저
글로벌 숏폼 동영상 플랫폼 틱톡(TikTok)과 협업하여 사용자들의
자발적인 참여를
통해 서울모빌리티쇼 현장의 다채로운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계획이다. 모빌리
티 플랫폼 우티(UT)와는 서울모빌리티쇼
티켓 구매 고객 대상 할인쿠폰을 증정하여
모빌리티 호출 서비스 체험 기회를 제공한다. 한편, 서울모빌리티쇼는 세계자동차산업연합회(OICA)가
공인한 국내 유일의 국제전시회로 1995년 시작되어 2년마다 개최되며, 2021년에는 미래차와 로봇, MaaS 등 새
로운 모빌리티 분야의 확장을 고려해
2021년부터 행사 명칭을 ‘서울모터쇼’에서 ‘서
울모빌리티쇼’로 변경한 바 있다.